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1. 플라시보 효과란 ?
플라시보 효과란 주로 사람의 마음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어 개개인의 기대나 신념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심리학 용어로 실제로는 어떤 효과가 없는 약물이나 치료를 받았지만 환자가 어떠한 치료의 효과를 느끼는 현상을 일컷는다. 이런 현상은 실제로 약물 연구에서 약물의 실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실험 대상자 중 일부에게 실제 약물을 주고 나머지 대상자들에게는 약물이 아닌 것을 주고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가한다. 이러한 플라시보 효과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데 환자의 기대 혹은 신념 그리고 의사에 대한 그들의 신뢰도, 복용방법이나 치료 방벙등이 이러한 요인에 해당 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플라시보 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환자의 상태가 심각한 경우는 플라시보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다.
2.플라시보 효과의 연구
플라시보라는 용어는 라틴어로 "내가 기쁘게 하리"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용어는 실제로 연구되어지고 정의되어진것은 20게기 초였지만 18세기 말에 영국 의사인 J.C. Colquhoun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1917년도에 미국에서 심장 소염제의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고 1950년도에는 덴마크에서 완화성 진통제의 플라시보 효과를 연구하였다. 플라시보 효과는 의학적 치료나 약물과 함께 사용될 때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1)플라시보를 연구한 심리학자
- 로버트 로저스(Robert Rosenthal)은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한 심리학자이다. Pygmalion in the Classroom 이라는 책을 출판하면서 유명해졌다.
- 하워드 맨스피언(Howard M.Spiro)은 의학계에서 유명한 인물로 의료분야에서 플라시보 효과에대한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고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이해를 널리 퍼트린 장본인이다.
- 아이브로 크레슈너(Irving Kirschner):플라시보 효과에서 광범위한 실험과 메타분석을 수행한 인물
3.플라시보 효과의 사례
1) 플라시보 효과의 긍정적인 사례
플라시보 효과의 긍정적인 사례로는 환자의 통증을 완화시켜준다는 것이다. 플라시보효과는 실제로 신경계에 긍정적은 영향을 주고 임상 연구에서 극심한 통증에서도 효과를 봤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우울증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데 연구 결과 실제 약을 복용하는 것보다 플라시보 약을 복용하는 것이 효과를 봤다고 한다. 또한 플라시보 효과는 환자의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한다. 이런 긍정적인 효과를 의학적 치료나 약물을 함께 사용하여 최대한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플라시보 효과의 부정적인 사례
플라시보 효과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때엔 치료 효과를 높힐 수 있지만 때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처음에 환자가 느낀 기대감에 의해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장기간 활용된다면 환자는 허위 치료로 인한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플라시보 효과로 병이 낫는 듯한 느낌을 받았지만 실제로는 병이 악화되고있는 경우는 플라시보효과로 인해 치료가 지연되어 치료를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환자가 치료가 필요한 상황일 경우에도 플라시보 효과로 인해 치료를 불필요하다고 여길 경우 질병을 키우는 일이 되어 치료를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플라시보 복용은 적절한 시기와 기간에 이루어져야 한다.
4.일상생활에서의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는 위의 글처럼 의학적인 관점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플라시보 효과는 일어날 수 있다.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믿고 따르는 것이 실제로 어떠한 근거도 없는 것일때 사용하기도 하고 또한 무언가를 속이거나 기만할때 플라시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물건의 가격이 비싸면 그만큼 좋은 품질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품질에 상관없이 가격이 비싸다면 플라시보 효과가 작용한 것이다. 또한 이와 비슷한게 특정 브랜드를 믿고 구매하는 것 또한 브랜드의 이미지나 마케팅 전략에의해 소비자들이 제품을 좋은 것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이 또한 플라시보 효과가 작용한 것이다. 이런 일상생활에서의 플라시보 효과는 인간의 뇌가 얼마나 신뢰를 추구하는지를 보여준다. 그래서 우리는 정보를 받고,해석하고 판단할때 신뢰성있는 정보와 판단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5.플라시보와 반대되는 노시브 효과
노시브(nocicebo)는 플라시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아무런 해가 없는데도 해가 있다고 느끼는 현상이다. 예를들어 우리가 어떤 약을 불신하면서 복용하였을때 실제로 그 약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이 또한 플라시보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신념과 기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시브 효과는 라틴어로 "해로"를 뜻하는 "nocere"에서 유래되어 뇌와 신경계의 생물학적인 메커니즘으로 노시브를 이르키는데 뇌에서 발생하는 화학 물질인 뇌펩타이드와 관련되어있어 이것이 인간의 아프거나 불편한 감각을 강화시키는데 일조한다. 이는 1961년에 고안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히 어떤 인물에 의해 시작되어있는지는 알려져 있지않고 플라시보 효과와 함께 연구되었다고만 기록되어있다.
'탐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페이(Apple Pay) - 등록방법 및 사용방법 / 제휴 금융사 (0) | 2023.03.21 |
---|---|
텍스프리(Tax Free)/텍스리펀(Tax Refund) - 해외에서 텍스리펀 받는방법과 절차,환급비율과 최소 구매 금액 (0) | 2023.03.20 |
2023년 봄꽃개화 시기예측 - 3월 봄나들이 가기 좋은 곳 추천 / 벚꽂명소 / 봄날 데이트 추천 / 개화시기 / 춘곤증 이기는 방법 (0) | 2023.03.04 |
혈액형 유전의 비밀 - 부모 혈액형으로 알 수 있는 자식의 혈액형, 희귀혈액형이 나올 수 있을까?, 혈액형 성격,특징 (0) | 2023.02.23 |
우리가 MBTI에 열광하는 이유 - 바넘효과(Barnum effect) (0) | 2023.02.22 |
댓글